신고전주의는 로코코 미술의 반감을 가진 미술가들이 고전 그리스와 로마 예술을 모범으로 삼고,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가치를 현실적으로 표현하려는 노력을 기울인 학파입니다. 그들은 비례와 조화를 중시하면서도 자연을 모방하고 인체와 감정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작품을 창작했습니다.
신고전주의 배경
신고전주의는 태양왕 루이 14세의 죽음 이후 중앙집권이 약화되고, 귀족들의 향락문화로 유명한 로코코 미술이 유행하는 시기에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로코코는 가벼운 사랑과 우아함을 표현하는 작품들로 대표되는데, 프랑스 귀족과 유럽의 엘리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신고전주의는 기존의 왕족과 귀족 중심의 바로크와 로코코 미술에 대한 반발로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이 시기 헤르쿨라네움(Herculaneum)과 폼페이(Pompeii) 같은 고대 유적이 발굴됩니다. 과거 고대 회화를 느낄 수 있는 문화재가 나왔다는 소식에 사람들은 그 시절 문화유산의 위대함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오늘날 80, 90년대 스타일의 문화가 신세대의 감성과 만나서 다시금 유행이 되듯이, 신고전주의도 옛것과 새것의 만남으로 새로운 문화를 생성하게 됩니다.
신고전주의 특징
1. 역사와 전통에 대한 연결
신고전주의는 역사와 전통에 대한 연결을 갖고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예술 혹은 이탈리아 르네상스 예술을 모범으로 삼았으며, 역사적인 소재와 주제를 작품에 활용했습니다. 이러한 관심은 예술의 연속성과 문화적인 전통을 강조하는데 기여했습니다.
2. 자연주의와 인간 중심의 표현
신고전주의는 자연주의와 인간 중심의 표현을 강조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전의 고전주의에서는 비례와 조화를 중시하며 이상적인 형태를 추구했지만, 신고전주의는 이에 더해 자연을 모방하고 인간의 신체와 감정을 현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를 위해 신고전주의 화가들은 자연의 관찰과 인체 해부학적 연구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생동감과 감정을 작품에 담아냈습니다.
3. 사회적 가치와 도덕성 강조
신고전주의는 사회적 가치와 도덕성을 강조하였으며, 작품을 통해 귀족적인 도덕과 가치를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예술이 사회의 질서와 조화를 강조하고 귀족적인 품격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와 함께, 신고전주의는 예술을 통해 사회적인 메시지와 정치적인 상황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프랑스혁명 이후 신고전주의 화가들은 정권을 미화하는 작품을 생산하였습니다. 이는 예술이 사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치와 예술의 커넥션을 보여주는 중요한 특이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신고전주의 대표 작가와 작품
신고전주의는 다양한 화가들이 참여한 예술적 운동이었지만, 그중에서도 화가 자크 루이다비드(1748-1825)는 신고전주의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힙니다. 다비드는 프랑스의 화가이자 정치가로, 프랑스 대혁명(1789) 이후 등장한 나폴레옹의 총애를 받아 수석 화가가 됩니다.
'소크라테스의 죽음이라는 작품'에서는 소크라테스를 고대 로마의 조각과 같이 정교하고 현실적으로 그림으로써 철학적인 영혼의 숭고함과 도덕성을 표현하기도 하였고, 화면 구성 등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 예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들인 신고전주의의 특징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그림이 정치를 함에 있어서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던 나폴레옹을 위해 열심히 서포트를 해주는데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과 같이 나폴레옹의 용감함과 위대함을 나타내는 그림들을 많이 연구하며 그려 냅니다. 나폴레옹을 위대한 혁명자로 만드는데 이바지했던 그도 결국 나폴레옹의 표독한 독재를 보며 지난날을 후회하는 순간이 왔고, 네덜란드의 브뤼셀로 망명하여 그곳에서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예술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기 인상주의 (표현주의):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0) | 2023.06.28 |
---|---|
서양 미술사: (근대) 표현주의 (0) | 2023.06.28 |
서양 미술사: (근대) 인상주의 (0) | 2023.06.27 |
서양 미술사: (근대) 사실주의 (0) | 2023.06.27 |
서양 미술사 : (근대) 낭만주의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