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창고

서양 미술사: (근대) 인상주의

by ㅇΩΘ⅛♀ 2023. 6. 27.
반응형

인상주의는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서양 미술사에서 혁신적인 등장을 한 학파 중 하나입니다. 이 학파는 기존의 미술 규범에 도전하며 감각적인 경험과 개인적인 표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인상주의 학파의 대표적인 화가로는 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앙리 마티스 등이 있습니다.

서양 미술사 인상주의 썸네일
서양미술사 인상주의

인상주의의 탄생

인상주의는 19세기말에 등장한 혁신적인 예술 학파로, 특히 프랑스의 파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습니다. 산업 혁명과 도시화로 인해 도시 생활은 변화하고 새로운 시각과 경험이 요구되었습니다. 인상주의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대한 예술적 반응으로 탄생하였습니다. 이러한 변화와 변동성을 포착하고자 하는 예술가들의 열망과 욕구는 현실의 순간적인 변화와 빛, 색상, 형태 등에 주목하게 했고, 이를 캔버스에 담아 표현하기 위해 실험과 새로운 기법을 도입했습니다. 그들은 현실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인상과 감정을 통해 세계를 표현하는 예술을 추구하게 됩니다.

 

인상주의의 특징

  • 여성을 보는 시선: 19세기 부르주아 여성들은 정숙함을 요구받았기에 마음껏 도시를 돌아다닐 수 없었습니다. 밤거리를 활보하거나 유원지를 오가며, 공연 무대에 오르는 여자들은 대게 하위계층의 여성들이었습니다. 반면에 남성들은 시선의 제약이 없어 도시의 공/사 구분 없이 자유롭게 넘나들며 도시를 조망하고 관찰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주도적인 시선으로 여성을 그림에 담았는데 오페라 뒷무대에서의 비밀스러운 거래, 손님을 기다리는 창녀들의 정돈되지 않은 모습들은 오직 남성화가들의 화폭에만 담길 수 있는 존재였습니다. 인상주의 화면에 등장하는 많은 하위계층의 여자들은 19세기 파리에서 잠재적인 매춘부였다고 합니다.
  • 감각적인 경험과 자연의 변화: 인상주의는 일반적인 형태나 세부적인 사항보다는 자연의 변화와 빛의 효과를 잘 활용하여 그 순간의 느낌과 감정을 표현하였습니다. 화가들은 색채와 광원의 조합, 브러시를 이용해 자유로운 그리기 방식 등을 사용하여 형태와 선명한 윤곽을 대신하여 색채와 광과 그림의 표면적인 특성에 주목했습니다.
  • 색채와 광과의 표현: 인상주의 화가들은 색채와 광원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했습니다. 클로드 모네는 빛과 색채의 변화를 잘 포착하여 그림에 담았습니다. 그의 대표작인 "수련이 있는 연못"은 강렬한 색채와 섬세한 빛의 표현으로 유명합니다. "해 질 녘의 빛"에서 또한 태양이 지는 순간의 빛과 색상의 변화를 표현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순간성을 담아냈습니다.
  • 브러시 사용의 자유로움: 인상주의의 화가들은 자유로운 브러시 스트로크를 통해 작품에 표현적인 요소를 부여했습니다. 앙리 마티스는 색채와 광과 표면의 특성에 대한 실험을 통해 독창적인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조선의 노란 옷을 입은 여인"은 선명한 색채와 대담한 브러시 스트로크로 유명합니다. 반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은 별빛 아래에 펼쳐지는 마을과 하늘을 직관적인 색상과 강조된 브러시 스트로크로 표현한 작품입니다.
  • 주관적 해석과 개인적 표현: 인상주의는 개인적인 시각과 해석을 강조하였습니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인상주의를 더욱 추상화한 방식으로 작품을 창작했습니다. 그의 대표작 중 하나인 "밤의 카페테라스"는 흐릿한 경계와 감각적인 색채의 조합으로 유명합니다.

 

인상주의의 영향

인상주의 학파는 단순히 사물의 외형을 그리는 것을 넘어서서 화가의 감정과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데 초점을 두었습니다. 이러한 접근은 나중에 다른 현대 미술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대중적으로도 매우 인기 있는 스타일이 되었습니다. 인상주의의 화가들은 독창적인 작품과 새로운 시각을 통해 미술의 경계를 넓혔으며, 특히 포스트인상주의와 표현주의 등의 예술 운동이 인상주의로부터 파생되게 됩니다. 인상주의의 기법과 개념은 색채론과 조명 이론에도 영향을 주었고, 오늘날 예술과 디자인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반응형